미띵23 멕시코의 커피 재배지역과 특성 멕시코 커피 멕시코는 1700년대 후반 스페인 지배자들에 의해 쿠바(Cuba)와 도미니카를 거쳐 베라크루스(Veracruz) 지역에 처음 커피가 소개되었다. 그러나 상업적인 재배는 1800년대 후반 독일과 이탈리아인에 의해 이루어졌는데 멕시코는 금, 은과 같은 지하자원을 수출하느라 커피 산업이 발달할 여지가 별로 없었기 때문이었다. 1860년대 과테말라와의 국경 분쟁으로 토지 등록이 시작된 이후 소수의 유럽인들이 대규모 토지를 구입하여 커피 농장이 활성화되었고 그 후 멕시코 혁명으로 토지 재분배가 시행되어 대규모 커피 농장은 다시 영세 농민에 의해 세분화되었다. 1973년에는 멕시코커피연구소(Instituto Mexicano del Cafe, INMECAFE)가 설립되어 기술 지원과 수출 쿼터 업무를 수.. 2023. 3. 4. 에콰도르, 볼리비아의 커피 생산량과 재배지역 에콰도르의 커피 생산량 커피 생산량은 20여 년 전의 120만 백에서 점차 감소하여 지금은 연간 60만백 정도를 생산하고 있다. 에콰도르의 커피 재배지역 에콰도르의 커피 재배 지역은 서부의 태평양 해안지역, 남부의 산악 지대, 동부의 아마존 지역으로 재배 고도는 수백 m의 저지대부터 2500m의 고산 지대까지 다양하며 태평양의 갈라파고스(Galapagos) 제도에서도 소량의 커피가 생산되고 있다. 서부 태평양 해안 지역은 마나비(Manabi)가 최대 아라비카 생산 지역으로 해발 700m의 비교적 저지대에서 커피가 재배되고 있다. 남부 산악 지대는 로하가 대표적인 생산 지역으로 해발 1000m~1900m의 고지대에서 커피를 재배하고 있으며 그 밖에 피친차(Pichincha)와 남부의 엘오로(El Oro),.. 2023. 3. 3. 페루의 커피 생산량과 재배지역, 에콰도르 커피 페루커피 페루는 1700년대 중반에 중앙아메리카에서 온 프랑스 이민자에 의해 비교적 일찍 커피 전파가 이루어졌지만 상업적 수출은 1900년대 들어와서야 시작되었다. 국토 대부분이 안데스 고산 지대로 지형이나 기후 면에서 커피 재배에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지만 도로나 전기 같은 인프라가 매우 취약하고 가공시설 부족으로 가공이 제때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문제는 커피 품질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페루의 많은 커피 농가들은 협동조합을 결성하여 커피의 판매, 가격 협상, 품질관리 등을 하고 있다. 그중 1999년 설립된 센프로카페는 2000여 농가가 가입된 라틴 아메리카에서 가장 규모가 큰 조합이다. 페루는 유기농 커피와 공정무역 커피의 주요 공급처이며 최근에는 빠른 속도로 스페셜티 커피의 생산도.. 2023. 3. 2. 콜롬비아 커피의 생산량과 재배지역 콜롬비아 커피 콜롬비아에서 커피가 언제 전파되었는지 정확하지는 않지만 1730년경 예수회에서 처음 들여왔다고도 하며 어떤 여행자가 가이아나에서 베네수엘라에 들러 콜롬비아에 올 때 전해 졌다고도 한다. 커피재배는 1800년대 초 콜롬비아 북쪽 지역에서 시작된 후 점차 확산되어 1900년대에 들어 남쪽의 나리뇨까지 전파되었고 1835년에는 상업적 경작이 이루어져 2,560백의 커피가 수출되었다. 이후 커피 생산량은 1870년대 6만백에서 1900년대 초 60만백으로 증가하였다. 콜롬비아의 커피 생산량은 한때 브라질에 이어 세계 생산량 2위를 꾸준히 유지했지만 1999년 베트남에 밀려 현재는 3위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콜롬비아는 워시드 커피 생산 1위이며 아라비카 커피 생산 2위 국가의 위치를 지키.. 2023. 2. 28. 이전 1 2 3 4 ···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