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띵

브라질 커피의 재배 지역과 특성

by 미띵로그 2023. 2. 27.

브라질 커피 재배 지역

술데미나스 : 남쪽의 술데미나스(Sul De Minas)는 브라질 커피의 핵심지로 700~1300m의 구릉지에서 소규모 농가들이 커피를 생산해 왔으나 인건비 상승을 기계를 이용한 수확을 많이 하며 햇볕 건조한 내추럴 커피의 주 공급처이다. 이파네마(Ipanema)와 몬테알레그레(Monte Alegre) 농장이 유명하고 술데미나스 지역 중 하나인 카르모데미나스(Carmo de Minas)에서 생산되는 커피는 브라질 COE를 석권하고 있다.

 

마타스데미나스 : 동쪽의 마타스데미나(Matas de minas)는 커피 재배가 오래된 곳으로 고도 550~1200m의 경사가 심한 지대이다. 농장의 50%가 10헥타르 미만의 소규모 농가이고 펄프드 내추럴과 내추럴커피를 생산한다.

 

세하두 : 세하두(Cerrado de Minas)는 미나스제라이스 서쪽의 고도 880~1200m의 고원 지대로 신흥 커피 재배 지역이며 대부분 대규모의 기계화된 농장에서 펄프드 내추럴과 내추럴커피를 주로 생산하고 있다. 

 

샤파다데미나스 : 북쪽의 샤파다데미나스(Chapada de Minas)는 1970년대 후반부터 커피 재배를 시작하였으며 고도 550~1200m의 완만한 지대로 일부 기계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생산 규모는 작은 편이지만 워시드와 내추럴 커피를 동시에 생산하고 있다.

 

이스피리투산투 : 고도 900~1200m로 미나스제라이스 다음으로 커피를 많이 생산하며 로부스타 최대 생산 지역이다. 남쪽 지역에서는 아라비카 내추럴 커피가 생산된다.

 

상파울루 : 상파울루는 가장 전통적인 방식으로 커피를 생산하는 지역으로 고도 800~1200m에서 커피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다. 모지아나(Mogiana)와 파울리스타(Centro-Oeste Paulista) 지역에서 커피가 생산되는데 그중 모지아나는 붉은색의 비옥한 토양에서 양질의 커피를 생산하고 있다.

 

파라나 : 파라나(Parana)는 브라질의 가장 남쪽 지역으로 한때 브라질 커피의 최대생산 지역이었으나 서리 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커피재배 지역이 다른 지역으로 많이 이전하여 지금은 생산량이 현저히 감소한 상태이다. 최근에는 펄프드 내추럴 커피를 주로 생산하고 있다.

 

기타 : 브라질 북동부에 위치한 바이아 주는 고도 700~1300m에서 아라비카와 로부스타 커피를 같이 생산한다. 동쪽의 샤파다지아만치나 (Chapada Diamantina) 지역과 서쪽의 세하두(Cerrado De Bahia) 지역, 중부의 플라나우투(Planalto da Bahia)에서 펄프드 내추럴과 내추럴 커피를 생산한다. 남쪽(Sul da Bahia) 지역에서는 로부스타가 생산된다. 혼도니아(Rondonia)는 열대성 기후의 저지대 지역으로 소규모 농장에서 주로 로부스타 커피를 생산하며 아라비카 내추럴 커피도 소량 생산하고 있다. 중서부에 위치만 마투그로수(Mato Grosso) 주와 마투그로수두술(Mato Grosso Do Sul) 주는 600m의 저지대에서 커피가 재배되고 있으며 그 밖에 브라질 북부의 일부 지역에서도 커피가 소량 생산된다.

 

브라질 커피의 특성

브라질은 품질이 뛰어난 커피도 지역에 따라 많이 생산되지만 일반적으로 뚜렷한 개성이 있는 커피라기보다는 단조롭고 중성적인 커피라고 일컬어지고 있으며 때문에 싱글오리진보다는 대부분 블렌딩 커피에 사용되고 있다. 또 다양한 지역에서 생산되어 지역별로 품질의 차이가 매우 큰 편인데 각 지역별 커피를 혼합하여 '카페 도 브라질'(Cafes do Brasil)이라는 브랜드로도 판매하고 있다. 브라질 커피에서 거장 많이 생산되는 내추럴 커피는 강한 바디를 지니고 있고 로스팅 정도에 따라 너티(nutty) 향이나 초콜릿향을 느낄 수 있으며 단맛이 좋지만 밝고 분명한 느낌의 신맛은 가지고 있지 않다. 또 중앙아메리카 지역의 커피에 비해 깔끔함이 덜하며 약간의 쓴맛이 두쪽에 느껴지기도 한다. 옐로 버번은 바디가 약하고 좀 더 부드러우며 강한 단맛과 함께 헤이즐넛향 그리고 밀크 초콜릿향을 느낄 수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