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라비카 고유 품종
아라비카에서 파생된 것으로 다른 계통과 무관한 독립적인 품종들을 말한다. 크게 에티오피아 고유 품종과 기타 고유 품종으로 나눌 수 있다.
1. 에티오피아 고유 품종
에티오피아의 야생 숲에서는 지금도 많은 품종이 자라고 있지만 이 품종들에 대한 정확하고 과학적인 분류는 없다. 에티오피아 고유 품종은 대부분 예멘 고유의 티피카와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독특한 커피 향을 지니고 있다. 커피 특성은 꽃향부터 레몬, 초콜릿, 베리향까지 다양하다.
게이샤
1931년 에티오피아 서남부 아비시니아의 게샤 지역에서 처음 발견된 품종이다. 케냐와 탄자니아에서 재배되다가 1953년 코스타리카에 유입되었고 그 뒤 1963년 돈파치에 의해 파나마에 전파되었으며 지금은 코스타리카, 콜롬비아, 엘살바도르 등지에서도 재배되고 있다. 게이샤 커피는 에스메랄다 농장에서 출품하여 2003년 '베스트 오브 파나마' 커피로 선정되었고 2007년에는 커피 경매 역사상 최고가를 기록하면서 국제적인 명성을 얻게 되었다. 나무키와 꽃이 다른 품종에 비해 크고 체리는 익었을 때 자줏빛으로 길쭉한 모양이다. 커피 특성은 강한 꽃향과 재스민 향, 감귤류의 산뜻한 신맛과 벌꿀의 단맛이 느껴지며 화이트 와인과 베리, 망고, 파파야 등의 속성도 있다. 바디는 강하지 않으나 애프터테이스트가 길며 베르가못의 향을 느낄 수 있다.
자바
19세기 초 네덜란드인들에 의해 에티오피아에서 인도네시아 자바로 전해진 품종으로 티피카 계통으로 여겨왔으나 최근에 유전자 분석을 통해 에티오피아 고유 품종의 하나로 밝혀졌다. 이웃한 티모르와 아프리카 카메룬 그리고 중앙아메리카까지 전해졌고 1991년에는 코스타리카도 소개되었지만 다른 나라로 전파되지는 않았다. 하지만 높은 고도에서 재배될 때 커피 품질이 좋아 게이샤의 대체 품종으로까지 인식되어 2016년 파나마에 전파되었다. 커피녹병과 커피체리병에 강하고 나무키는 큰 편이며 재배 적정 고도는 1200m 이상이다. 밝은 신맛과 단맛, 견과류와 초콜릿향, 지속성이 강한 여운을 느낄 수 있다.
USDA762
미국 농무성(USDA)에 의해 1955년 에티오피아 남부 지역에서 수집된 후 1956년 인도네시아로 보내져 자바에서 재배되는 품종이다. 나무키가 크고 수확량이 많고 커피녹병에 강하며 품질도 뛰어난 편이다.
이가체페
에이오피아의 커피 품종인 동시에 에티오피아 남부 시다마 지역에 속한 커피 산지명이기도 하다. 에티오피아를 대표하는 커피로 알려져 있으며 재스민의 꽃향, 깔끔한 신맛과 베리, 차와 같은 특성을 느낄 수 있다.
하라
에티오피아의 커피 품종인 동시에 에티오피아 동부의 커피 산지명이다. 형태에 따라 크기가 큰 롱베리와 작은 숏베리가 있으며 나무 형태는 이가체페와 유사하다. 블루베리가 연상되는 과일의 맛과 와인, 다크 초콜릿을 느낄 수 있다.
2. 기타 고유 품종
모카
예멘 모카 지역의 고유 품종으로 가장 오래된 품종 중 하나이다. 나무키와 잎이 작으며 생두의 크기도 스크린 사이즈 14이하로 매우 작아 때때로 피베리라고 오인되기도 한다. 둥근 모양이지만 크기나 형태가 일정하지 않고 수확량이 많지 않아 브라질과 하와이등을 제외하고 재배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부드럽고 좋은 신맛을 느낄 수 있고 다양한 초콜릿의 플레이버를 느낄 수 있다.
루메수단/수단루메
수단루메로 불리기도 하는 루메수단은 1942년 수단 남동쪽에 있는 보마 고원의 루메 계속에서 발견된 품종이다. 2001년 콜롬비아커피연구센터로 보내져 연구되었으며 그 결과 2011년 콜롬비아의 한 농장에 처음 심어졌다. 나무키와 잎은 크고 콩은 길쭉하게 생겼으며 크기는 큰 편이다. 이 품종은 야생 교배종으로 야생화의 향을 가진 열대과일의 맛을 느낄 수 있으며 플레이버가 특히 뛰어난 것으로 평가되지만 수확량이 적어 상업적 재배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커피베리병에 대한 강한 내성을 가지고 있다.
>생산국가별 주요 재배품종
남미 | 브라질 | 버번, 티피카, 문도노보, 카투아이, 카투라, 카투카이, 마라고지페, 이카투 |
콜롬비아 | 카투라, 카스티요, 콜롬비아 버라이어티 | |
페루 | 티피카, 카투라, 버번, 카티모르, 파체 | |
에콰도르 | 티피카, 버번, 카투라 | |
볼리비아 | 티피카, 카투라, 카투아이 | |
중미 | 멕시코 | 버번, 카투라, 티피카, 카티모르, 문도노보, 마라고지페 |
과테말라 | 버번, 카투라, 카투아이, 티피카, 파체, 마라고지페 | |
코스타리카 | 카투라, 카투아이, 버번, 산라몬, 티피카, 코스타리카95, 비야로보스, 비야르사치, 게아샤, 모카, SL-28 | |
엘살바도르 | 버번, 파카스, 파카마라, 카티식, 사르치모르 | |
온두라스 | 카투아이, 카투라, 버번, 파카스, 티피카, 렘피라, IHCAFE90 | |
니카과라 | 버번, 카투라, 카투아이, 마라카투, 마라고지페 | |
파나마 | 카투라, 카투아이, 티피카, 버번, 산라몬, 게이샤, 자바 | |
아프리카 | 에티오피아 | 에티오피아 고유 품종 |
케냐 | SL-28, SL-34, K7, 루이루11, 바티안 | |
탄자니아 | 버번, 켄트, 티피카, 아루샤, 블루마운틴 | |
르완다 | 버번, 잭슨 | |
브룬디 | 버번, 잭슨, 미비리지 | |
아시아 | 인도네시아 | 티피카, S-795, 아텡(카티모르), 팀팀(티모르 하이브리드) |
하와이 | 티피카, 카투라, 카투아이, 문도노보 | |
파푸아뉴기니 | 블루마운틴, 버번, 아루샤 | |
예멘 | 예멘 고유 품종 |
'미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피의 재배조건과 재배종류 (0) | 2023.02.20 |
---|---|
카네포라 품종 / 커피녹병이란? (0) | 2023.02.20 |
아라비카 품종 공부 (교배종) (0) | 2023.02.19 |
아라비카 주요 품종 공부하기 (티피카, 버번) (0) | 2023.02.19 |
커피의 대표 품종 3가지 (0) | 2023.02.19 |
댓글